상사와 생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방법

상사와의 관계는 상당한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중요한 관계다.

상사와 적극적으로 협상한다면, 현실적인 목표를 정하고, 상황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고, 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공급받아 게임을 원하는 방향으로 끌고 갈 수 있다.

  1. 기본적으로 하지 말아야 할 일
  2. 기본적으로 해야 할 일
  3. 상사와 꼭 해야 할 다섯 가지 대화
  4. 90일 계획 짜기
90일 안에 장악하라

기본적으로 하지 말아야 할 일

  • 거리를 두지 말 것 (먼저 다가가라.)
  • 상사를 당황하게 하지 말 것 (문제 발생을 파악하면 즉시 보고하라.)
  • 문제가 있을 때만 상사를 찾지 말 것 (완벽하지 않더라도 대처방안을 함께 제시하라.)
  • 자신의 과거 실적을 늘어놓지 말 것
  • 상사를 변화시키려 하지 말 것

기본적으로 해야 할 일

  • 초기에 자주 서로의 기대를 명확히 할 것
  • 협력관계 구축에 100% 책임질 것
  • 상사와의 협의를 통해 진단과 계획 수립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것 (준비가 덜 된 상태에서 중대한 판단을 내리거나 문제 해결에 덤벼들어서는 안 된다.)
  • 상사가 중요시하는 영역에서 초기 승리를 거둘 것
  • 상사가 존중하는 사람들로부터 좋은 점수를 받도록 노력할 것

상사와 꼭 해야 할 다섯 가지 대화

  1. 상황 진단 대화
    • 이 대화에서는 현재의 비즈니스 상황, 그로 인해 직면한 도전과 기회에 관하여 의견 일치를 이루어 내야 한다.
  2. 기대 대화
    • 이 대화의 핵심은 미래에 대한 기대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중단기 목표, 시점, 성과측정 방식 등에 관해 의견 일치를 이루어야 한다.
    • 상사가 가장 관심 있어 하는 영역에서 초기 승리를 확보하자.
    • 상사의 목표와 기대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3. 자원 대화
    • 성공을 이루는 데 어떤 유형, 무형의 자원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첫 단계이다. 그 다음엔 상사의 도움을 받아 얻어낼 수 있는 자원을 파악하라.
    • 밑바탕의 이해관계에 주목하라. 상사가 어떤 목표를 갖고 있는지 최대한 신중하게 찾아보라.
    • 상호이익을 교환하라. 상사의 목표를 뒷받침하면서 여러분의 목표도 진척시킬 자원을 찾아라.
    • 자원을 결과와 연결시켜라. 최대한 신속하게 최대한 많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좋다. 자원을 투자하는 정도에 따라 비용과 수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일일이 열거하는 메뉴식 접근 방식을 이용해보라.
  4. 스타일 대화
    • 이 대화의 목적은 상사와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는 것이다.
    • 상사의 업무 스타일을 파악하고 이와 조화시킬 방법을 찾아야 한다. 과거에 상사와 일한 적이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 업무 스타일에 심각한 차이가 있을 경우 최선의 방법은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이다. 스타일의 차이가 불화의 시작이 되기 전에 스타일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
    • 스타일 문제를 단번에 해결하려는 실수를 범해서는 안 되지만, 스타일 문제를 꺼내는 것 자체가 상사와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좋은 출발점이다.
  5. 개인적 발전 대화
    • 상사와의 관계가 어느 정도 확립된 후, 상사에게 관리능력 향상에 필요한 피드백과 도움을 청하는 습관을 들여라.
    • 자신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상사에게 피드백을 구하는 성실한 자세, 피드백 받은 내용을 실천하는 능력은 그 자체로 강력한 인상을 준다.

90일 계획 짜기

  • 새 조직에서 2주 정도가 지나면 연대감이 형성되기 시작하는데, 이때쯤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 90일 계획에는 목표와 시간표, 최우선 과제가 포함되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주요 내용을 상사와 공유하고 계획에 대해 상사의 승인을 받는 것이다.
  • 90일을 30일씩 세 구간으로 나누어라. 각 구간이 끝날 때마다 상사와 평가하는 자리를 마련하라.
    1. 첫 30일 동안에는 학습과 개인적 신뢰 구축에 힘써야 한다. 상사와의 협상을 통해 부임 초기에 학습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고, 학습 목표를 정하고, 학습 계획을 세운다. 첫 30일이 끝났을 때는 상황 진단 결과, 최우선 과제, 다음 30일 계획을 제출한다.
    2. 두 번째 구간이 끝나는 60일 후에는 지난 30일 동안 애초에 계획했던 것을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 평가하고, 앞으로 30일 동안 해야 할 일들을 논의해야 한다.

¶ 출처: 마이클 왓킨스, ⟪90일 안에 장악하라⟫ (책 구매하기)

You might also lik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Create a website or blog at WordPress.com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