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력은 체력의 보호 없이는 구호 밖에 안 된다.
드라마 [미생]
드라마 [미생]의 명대사 중 하나. 소셜 미디어에 자주 공유되는 말인 만큼, 널리 공감을 얻은 듯 하고, 나 또한 고개를 끄덕였던 말이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플레이북: 게임의 법칙]을 보고 나니, 위 문장에서 ‘정신력’과 ‘체력’의 자리를 맞바꿔도 여전히 좋은 말이겠다고 생각했다.
파트리크 무라토글루(Patrick Mouratoglou). 낯선 이름이지만, 세리나 윌리엄스의 코치라고 하면 알 것 같은 사람이다. 2018년 US오픈 결승에서 있었던 사건이 유명하다.

그가 말하길, 어떤 선수들은 ‘일부러’ 실수를 해서 경기에 진다고 한다.
‘고의적인 실수’라는 게 어떻게 가능할까. ‘고의’ 아니면 ‘실수’ 아닌가. 아마도 ‘고의적인 실수’란 제3자가 보기엔 ‘실수’ 같지만, 선수를 오래 봐 온 코치의 눈에는 결코 실수로 보이지 않는 플레이를 가리키는 말일 것이다.
그러니까 어떤 선수들은 승패가 결정되기도 전에 일부러 실수를 해서 경기를 빠르게 끝낸다고 한다. 특히, 평소 ‘재능’이 있다고 칭찬 받는 선수들에게서 더욱 그런 경향이 짙게 나타나는 것 같다고 한다.
이 코치의 설명은 이렇다: 그 선수들은 질때 지더라도 자신의 ‘재능’을 의심받고 싶어하진 않는다. 재능이 없어서 진 게 아니고 최선을 다하면 이길 수도 있었지만 일부러 진 거라는 평가를 차라리 달가워한다.
선수 본인을 제외한 모든 스태프가 그 선수의 성공을 바라며 노력하는데, 정작 선수 본인이 실제 경기에서 노력은 커녕 일찌감치 패배를 재촉하는 플레이를 하다니. 역시 인간은 복잡한 존재이다.
다행히 나 역시 그 복잡한 인간이라, 위 상황을 이해하기 어렵진 않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내가 코치라면, 어떻게 이 선수들이 자신의 100%를 다하는 방향으로 코칭할 수 있을까. 코치는 이 질문을 파고든다.
정신력, 즉 멘탈(mental)이 체력을 넘어설 수는 없다. 맞는 말이다. 그렇지만 멘탈의 도움 없이 우리는 가진 체력을 100% 끌어내지 못한다. 우리가 가진 잠재력을 폭발시키지 못한다.
결국 우리의 한계란 대부분 정신적인 한계다(이 코치가 한 말이다). 드라마 [미생]의 대사처럼 체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정신력이 구호에 불과하다면, 정신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체력은 연료는 있지만 점화는 어려운 상황과 같다고 할 수 있다.